사이버이메지네이션 60

(UI컴포넌트)webPonent CHART 2.1.0 버전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HTML5 기반의 데이터 인포그래픽 컴포넌트 webPonent CHART의 Visual Radar Chart 추가 버전 업그레이드 소식을 안내드립니다. 추가된 Radar 차트의 기능 및 사용환경은 아래와 같습니다. (Radar CHART) - 여러 개의 데이터를 한번에 보여주기 유용 - 데이터 개수에 따라 다각형 세팅 가능 - 차트 눈금 개수 지정 가능 - Tick 모양(원, 사각형, 삼각형, 별, 다이아몬드) 설정 가능 - Tooltip을 이용해서 커서가 틱을 가리킬 때 해당 데이터를 불러올 수 있음 - 시계열 사용 가능 - 애니메이션 효과 사용 가능 - 범례 사용 가능 - 데이터의 크기를 패턴으로 나타낼 수 있음 (사용환경) - 서버: 모든 서버 - 언어: 개발언어에 종속되지 않음(htm..

Electron 개념정리

안녕하세요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공부한 일렉트론이라는 프레임 워크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Electron은 2013년 GitHub이 텍스트 편집기인 Atom을 만들기 위해 개발한 프레임 워크입니다. 2014년 Atom과 Electron이 오픈 소스로 공개가 되면서, 지금은 많은 개발자들과, 회사들에게 사랑 받는 인기 있는 도구가 되었습니다. 기본적인 웹 지식만 있다면 누구든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 개발자로 만들어주는 일렉트론에 대해서 지금부터 설명하겠습니다. 1. 일렉트론(Electron)이란? Electron은 Native애플리케이션이며 Chromium과 Node.js를 1개의 런타임으로 통합하여 JavaScript, HTML, CSS만 가지고도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도..

프론트엔드 2019.04.11

(API서버)국산 API 솔루션 ‘D-Bridge’ 구축 사례 통해 다양한 정보 확인 가능

사이버이메지네이션의 API서버 D-Bridge 제품관련 기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D-Bridge는 자체 기술로 개발한 국산 API 솔루션으로 마이데이터 기반 사업을 준비 중이거나 외부사업자와 제휴를 통한 판매채널 확대, 어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편리하게 변경, 추가할 수 있는 마이크로 서비스 형태의 업무시스템 구축을 고려하는 기업들에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온라인 금융 서비스에서 준수돼야 하는 보안 기능 또한 기본으로 제공되어 금융권에서 구매가 이어지고 있다...(중략) 한편 D-Bridge 도입을 통한 API Platform 주요 구축 사례는 다음과 같다. △SK증권: 금융권 공동 핀테크 오픈 플랫폼, 외부사업자 연계 포트폴리오 자산관리 서비스(쿼터백) △코스콤(해외납품): 말레이시아거래소..

OPEN Source를 이용한 검색엔진 개발(2)

지난 포스팅에 OPEN Source를 이용한 검색엔진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을 공유 하였고 이번 회차에서는 검색엔진의 수집, 색인, 검색에 대한 내용에 대해 상세히 공유 하도록 하겠습니다. 수집 – 검색엔진의 목적에 맞게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준비하는 과정 -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는 비정형 데이터(정보)를 필요에 따라 추출 -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페이지 크롤링과 DBMS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을 통해 예를 들어 설명 1. 크롤링 웹 페이지를 그대로 가져와서 데이터를 추출해 내는 행위. 크롤링을 하는 소프트웨어를 크롤러라고 부름 - 검색 엔진에서는 웹 상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색인하기 위해 사용. - 일일이 해당 사이트의 정보를 검색하는 것이 아닌 끊임없이 새로운 웹 페이지를..

유용한 정보 2019.03.22

블록체인 개념정리

블록체인이란? 1.1 블록체인 정의 블록체인은 쉽게 말해 “정보를 변조하기 어려운 형태로 모든 사용자가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입니다.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들끼리 모든 금전거래 및 디지털 인증정보 등을 일정시간마다 비교하며 처리하기 때문에 종래의 제 3자인 중개기관(ex. 은행)을 통한 클라이언트 서버 방식이 아닌 개인과 개인이 거래 데이터의 정당성을 보증하는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으로 차이가 있습니다. 클라이언트 서버 방식이었던 기존의 방식은 데이터를 중앙에서 기록 및 처리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일 뿐만 아니라 사이버 공격에 단일표적으로 지정되기 쉬우며, 더불어 시스템 다운에 대비한 백업 및 업무연속성 대책에 대한 막대한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었습니다. 이에 비해 분산원장 “블록체인”..

유용한 정보 2018.09.04

기계학습과 선형 회귀 분석(1)

1.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의 의미1.1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이란?어떠한 일을 예측할 때 수많은 규칙들이 존재하여 모든 경우를 예상할 수 없습니다. 예측하는 방법을 일일이 프로그래밍하지 않고 어떤 자료와 현상에서 자동적으로 배우게 하는 것이 바로 기계학습입니다.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보고 학습해서 뭔가를 배우는 능력을 갖는 프로그램을 기계학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 학습 (Learning)의 종류학습을 하기 위해선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학습은 방법에 따라 지도(Supervised)학습과 비지도(Unsupervised)학습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1.2.1. 지도 학습 (Supervised Learning)지도 학습은 레이블이 주어진 데이터를 ..

유용한 정보 2018.08.24

모바일 터치 디자인하기(2)_폼 디자인

많은 사용자들이 PC보다 손쉽게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로 회원가입을 하고 정보를 제출하기 위해 모바일의 폼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PC와는 다른 모바일 폼 디자인에 관련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폼 필드입력 필드 최소화PC 디자인과 동일하게 모바일에서 폼 필드를 제공할 경우 많은 입력 폼에 지친 사용자의 페이지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C에서는 필요한 정보 이외에 선택적인 정보도 요구하지만 모바일에서는 꼭 필요한 정보만 입력하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또한 입력 필드를 최소화하고 구간을 나누지 않는 편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핸드폰 번호를 입력할 경우 필드 구간을 나누어 놓으면 사용자는 숫자를 누른 후 다음 입력 필드를 터치 후 다시 입력하는 행동을 여러번 거쳐야하기 때문에 특별한 사유 없이는 구간..

유용한 정보 2018.08.17

모바일 터치 디자인하기

우리가 알고 있듯 모바일의 입력 장치는 손가락입니다. 이는 데스크탑의 마우스 커서와 달리 한계점이 존재하며 손가락 제스쳐 마다 기능과 특징이 존재합니다. 모바일(휴대용 터치 스크린) 디자인에서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인 모바일 터치에 관련해 살펴보고자 합니다. 엄지손가락의 법칙(The Rule of Thumb)2013년 스티븐 후버의 13,000명의 핸드폰 사용 관찰 연구에서 한 손으로만 사용하는 경우 49%로 가장 많고 한 손으로 핸드폰을 받치고 다른 손으로 화면을 탭을 하는 경우가 36%, 양손을 이용하는 경우가 15%로 핸드폰 사용하는 습관에 대해 알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 사용방식][엄지손가락 사용 비율] 스마트폰 사용방식 중 엄지 손가락 사용률을 보면 75%가 되는데, 이는 대부분의 사용자가 핸..

유용한 정보 2018.07.06

Airbnb Lottie

1. 배경 스마트 폰 앱, 웹뿐 아니라 PC 웹사이트에서도 적재적소에 사용하는 마이크로인터렉션 요소들은 사이트의 퀄리티를 높이고 방문자의 흥미를 유발하는데 큰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디자이너의 역량을 필요로 하는 결과물을 효율적으로 프로젝트에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난제들을 극복해야 하는데 기술적인 문제와 더불어 소통의 문제도 무시 할 수 없는 요소입니다. 디자이너와 개발자 간의 간극을 줄이고 수준 높은 결과물을 얻기 위한 방법이나 어플리케이션의 필요성은 늘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러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리서치 한 결과 Airbnb에서 자체 개발한 어플리케이션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l 프로젝트 진행 시 인터렉션 모션 구현이 어려운 이유개발자의 입장에서 원하는 모션그래픽을 만들기 위해서는 전문 디자인 ..

유용한 정보 2018.07.02

Ethereum_dApp_4_개발하기(2)

이전 포스팅에서 TestRPC 블록체인에 컨트랙트를 발행하는 것에 이어서 진행하겠습니다.이전 포스팅 내용을 다시 보고 싶다면, '다시보기'를 클릭해주세요. 다시 Spring Boot 로 돌아와서 /src/main/resources/static 경로에 js 폴더를 만들고 script.js 라는 파일을 생성합니다.그럼 JSP 에서 경로 설정 시 다음과 같이 추가해주면 되겠습니다. 또한 js 파일에서 web3.js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기 위해 해당 구문을 추가해줍니다.web3.js ? web3.js 는 Ethereum Compatible JavaScript API 로 이더리움과 자바스크립트 간 호환이 가능하도록 기본적인 기능 또는 여러 함수들을 묶어 놓은 라이브러리 입니다. web3.js 는 자바스크립트..

유용한 정보 2018.0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