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스마트의 시작, Ontology_3

CyberI 2017. 6. 30. 16:59


“Ontology 활용 : Linked Open Data(LOD)”

 

 오늘은 지난 포스팅에서 잠시 언급했던 LOD(Linked Open Data)를 중심으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l   LOD = Linked Data + Open Data

 지난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대로 LOD는 기존 HTML로 이뤄진 Document Web에서 RDF OWL 등으로 이뤄진 Data Web으로의 변화의 과정에서 탄생한 녀석(?)입니다.

 


- Document Web : URL을 통해 각각의 URL에 매칭된 화면을 기본단위로 제공

                   * URI : 화면[식별자]을 포함

- Data Web : URL을 통해 각각의 URL에 매칭된 데이터를 기본단위로 제공

                   * URI : 클래스[이름 or 식별자] or 트리플 구조를 포함.


 위 그림과 요약된 설명을 보시면 URI을 통해 서버로부터 얻는 결과물도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URI의 구성도 조금 다름을 아실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LOD URI에서 지금까지 우리가 공부한 온톨로지의 흔적(클래스, 트리플 구조)도 찾으실 수 있습니다.


l   LOD Open API의 차이

 근데 이렇게 보면 LOD가 어딘가 Open API랑 유사하다는 생각을 하시는 분도 계실 수 있습니다. 맞습니다. URI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 받는다는 사실에서 그렇게 느끼셨을 거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LOD만의 강점이자 Open API와의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온톨로지를 활용한다는 점입니다.


- Open API : 데이터 제공자가 규정한 형태의 정보만 획득이 가능

- LOD : 트리플 구조를 활용해 사용자가 획득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형태를 직접 결정

        * 트리플 구조의 표현 : 일반적으로는 온톨로지 질의(Query)언어인 SPARQL(Simple Protocol And RDF

                                      Query Language)을 사용해 표현합니다.

 

l   LOD의 사례

 LOD의 사례는 해외뿐 아니라 국내에도 공공기관을 중심을 몇몇 곳을 찾아 볼 수 있습니다. 창조경제 시절(?) LOD가 붐을 일으켜 많은 곳에서 LOD를 적용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그 중 한가지 사례로 국립중앙도서관을 소개합니다. 이곳은 SPARQL(= SPARQL Endpoint)의 예제도 보여주고 있어 LOD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참고 : (국내)국립중앙도서관]  URL : http://lod.nl.go.kr/home/


l   정리

 LOD를 통해 우리는 사용자가 알고자 하는 대상을 컴퓨터에게 요구(검색)했을 때 컴퓨터가 온톨로지를 통해 대상을 파악(인식)하고 대상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기능을 활용해 컴퓨터가 제공한 정보를 분석한다거나, 더 나아가 컴퓨터 스스로가 분석한 내용까지 제공한다면 온톨로지가 더 많은 활용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